최근 힘든 시기를 살아내는 청년을 지원하는 정책이 늘어난 게 부쩍 눈에 많이 띈다. 지난 해에 이어 2022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일정이 나왔다. 청년이 10만원을 3년간 저축하면 정부에서 720~1,440만원까지 지원금을 적립해 주는 사업이다.
작년까지만 해도 기초생활수급대상자 등 18,000명의 청년만 대상이 되었지만 올해부터는 자격조건을 완화하여 104,000여명까지 지원대상을 늘릴 예정이라고 하니 조건이 된다면 꼭 신청해보기 바란다.
청년내일저축계좌란? 혜택정리
소득이 낮은 청년이 매달 10만원씩 3년 동안 저축하면 정부에서 추가로 10~30만원의 장려금을 적립하는 것으로 지급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720만원~1,440만원에 이자까지 받을 수 있는 정부 정책이다.
3년간의 적금이자가 얼마나 될지 대략 계산해 보면 이율 2.5%일 때 세후 이자가 약 12만원이다.
본인 적립금, 정부지원금, 이자까지 합해서 정리해보면 아래 표와 같다.
매달 10만원씩 3년만 넣으면 최소 732만원은 받을 수 있고 기초생활수급, 차상위라면 배로 1,452만원은 수령 가능하다!
물론 3년 동안 통장을 유지해야 하고, 근로(또는 사업)을 지속해야 하며, 교육 이수(총 10시간),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해야만 탈 수 있다.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자격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연령, 개인소득, 가구소득, 가구재산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다.
- 연령: 만 19세~34세 청년 (1988년~2003년도 사이 출생자)
- 개인소득: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월 50만원~월 200만원 이하 (*급여명세서상 세전 월급액, 신청일 기준 전월 발생 소득)
- 가구소득: 중위소득 100% 이하 (아래 표 참고)
- 가구재산: 대도시 3.5억원, 중소도시 2억원, 농어촌지역 1.7억원 이하
다만,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청년(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)은 연령조건을 만 15~39세까지 적용하며 근로소득, 사업소득 금액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.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
- 신청기간: 2022년 7월 18일(월)~8월 5일(금)
- 발표일: 2022년 10월 중
- 신청장소: 복지로 홈페이지(www.bokjiro.go.kr) 에서 온라인 신청, 또는 주소지 주민센터에서 방문신청
- 신청요일: 신청자가 몰릴 것을 대비하여 아래와 같이 5부제를 실시한다. 5부제 기간 동안 신청하지 못한 사람은 8월 첫째 주에 신청하면 된다.
- 7/18(월), 7/25(월): 출생일 끝자리가 1, 6인 청년
- 7/19(화), 7/26(화): 출생일 끝자리가 2, 7인 청년
- 7/20(수), 7/27(수): 출생일 끝자리가 3, 8인 청년
- 7/21(목), 7/28(목): 출생일 끝자리가 4, 9인 청년
- 7/22(금), 7/29(금): 출생일 끝자리가 5, 0인 청년
청년내일저축계좌 많이 하는 질문
Q1. 가구 내 청년이 2명 또는 3명일 경우 청년 모두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이 가능한가요?
A1. 네, 가능합니다.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개인단위 통장으로, 가구 내 가입 가능한 청년의 수에 제한이 없습니다. (단, 유사자산형성지원사업 참여자는 제외, 아래 표 참고)
Q2. 만 34세 초과~만 39세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은 수급자격이 미리 확인되지 않는 경우 신청할 수 없는지?
A2. 해당 청년이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에 해당되는지 여부는 소득조사 실시 전에는 알 수 없으므로 신청은 필요합니다.
신청 후 소득조사 결과 기준 중위소득 50%를 초과했을 때에는 연령 기준(만19세~34세) 미충족으로 가입 불가하며, 만 15세~19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Q3. 청년의 근로․사업 소득은 어떤 소득이며, 언제 발생한 소득을 말하는 걸까요?
A3. 근로소득: 근로자는 급여명세서상 월급액(세전 소득)으로, 적용 시점은 신청일 기준 전월 발생 소득이며 근로유형에 따라 제출하여야 하는 증빙서류가 다르므로 확인 후 제출이 필요합니다.
사업소득: 사업자도 근로자와 똑같이 적용하며, 소득확인을 위한 증빙서류도 사업 유형에 따라 다르므로, 증빙서류 확인 후 제출하여야 합니다.
그런데 2022년도 최저시급이 9,160원이니 월급으로 환산하면 1,914,440원이다. 세전 소득이 월 200만원 이하인 조건에 맞는 사람이려면 거의 최저임금이어야 가능한데, 아르바이트가 아닌 일반 직장인이라면 여기에 식대만 포함해도 월 200만원을 훌쩍 넘기게 된다. 실질적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할 수 있는 사람도, 혜택을 볼 수 있는 사람도 극히 소수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.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흥 은계지구 요약 (1) | 2022.10.03 |
---|---|
깡통전세 뜻, 전세사기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2.08.15 |
루나코인 보상책으로 루나2 에어드랍, 168만원 복구시켰다.. (0) | 2022.05.29 |
루나 코인 투자실패로 삼성전자 직원 2명 극단적선택 (0) | 2022.05.27 |
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자격, 신청서류, 부양의무자 (0) | 2022.05.25 |
댓글